신생아중환자실에서 분리되는 mupirocin 내성 MRSA분리주의 분자역학적 특징에 대한 예비적 보고

신생아중환자실에서 분리되는 mupirocin 내성 MRSA분리주의 분자역학적 특징에 대한 예비적 보고

Preliminary data for molecular epidemiologic characteristics of mupirocin resistant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포스터):
Release Date : 2009. 10. 23(금)
So Eun Koo¹, Mi-Na Kim², Mi-Young Lee², Ellen Ai-Rhan Kim¹
Department of Pediatrics, Division of Neonatology¹,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²,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구소은¹, 김미나², 이미영², 김애란¹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소아청소년병원, 신생아과¹, 진단검사의학과²

Abstract

목적 : 단일 신생아중환자실에서 장기적 MRSA 집락화된 환아들에 대하여 mupirocin 사용으로 인한 내성획득 여부와 내성을 보이는 MRSA 분리주의 임상적, 분자역학적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08년 10월부터 2009년 5월까지 본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아들을 대상으로 비강, 서혜부, 제대에서 MRSA에 대한 감시배양을 1주 간격으로 실시하여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분리된 균주로 디스크 확산법 항생제 감수성 검사를 mupirocin, cefoxitin, erythromycin, clindamycin (D test 포함), ciprofloxacin, tetracycline, trimethoprime/sulfamethoxazole, gentamicin에 대하여 실시하였다. PFGE( Pulsed filed gel electrophoresis)를 시행하여 유사경향을 보이는 환아들의 균주를 선별하여 Agar typing 등의 분자역학적 검사를 통해 MLST(multiple locus sequence type) 유형을 알아보았다. 결과 : 연구기간 동안 총 입원환아수는 423명이었고 외부입원 환아는 51명(12.1%)였다. 44명(10.4%)이 비강, 서혜부, 제대 등에서 시행한 MRSA 감시배양에서 양성을 보였고, 이중 8명(21.1%)이 mupirocin 감수성 검사에서 mupirocin에 높은 내성을 보였으며, mupirocin에 낮은 내성을 보이는 경우는 없었다. Mupirocin 감수성군 30명과 내성군 8명의 재태연령, 입원기간, 집락화 시기 등을 비교하였을 때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외부 입원환아에서 mupirocin 내성이 의미있게 높았다.(p=0.004) 38명중 탈집락화 된 경우는 17명(44.7%), 실패한 경우가 15명(39.5%)이었다. 탈집락화 실패한 군은 mupirocin내성군에서 의미있게 높았다.(p=0.033) 항생제 감수성 검사에서 내성률은 각각 ciprofloxacin0(0%), gentamycin5(13.2%), trimethoprim- sulfamethoxazole 1(3.3%), cefoxitin38(100.0%), rifampin 0(0%), erythromycin 23(76.7%), clindamycin 25명(83.3%)이었다. 3회이상 연속적으로 감시배양에서 MRSA가 분리된 환아는 총 10명(26.3%)이었고, 이들의 연속감시배양에서 mupirocin 감수성에는 변화가 없었다. 38명에 대한 PFGE결과는 4군으로 분류되었고, A형 24명(60.5%), B형 11명(31.6%), C형, D형, S형이 각각 1명씩이었다. PFGE 유형별로 살펴볼 때 MRSA 내성균은 각각 A형 5명, B형 1명, D형, S형은 각 1명씩이었다. MLST는 A형은 ST1, 493이었고, B형은 ST 72, C형은 ST1, D형은 ST 239, S형은 ST1이었다. 결론 : 신생아 중환자실 내에 집락되는 MRSA는 성인과는 다른 유전적 특징을 가진 MRSA이며, mupirocin에 내성을 보이는 균주는 모두 높은 내성군으로 전체 MRSA중 21%를 차지하고, PFGE상 특이한 형으로 구분되지 않았으며 신생아 중환자실 입원동안 mupirocin내성을 획득하는 경우는 한건도 없었다.

Keywords: MRSA, ,